
e데일리뉴스 | [평택=강경숙기자] 30여개의 시민단체 및 환경단체가 연대한 ‘송탄상수원지키기-평택생명시민연대’는 30일 성명서를 통해 지난 23일 해제된 송탄상수원보호구역과 관련, 평택 진위면과 안성 원곡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국토부와 경기도에 건의하라고 정장선 시장에게 촉구했다.
용인 국가산단으로 영향을 받은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은 올해 4월 17일 국토부, 용인시, 평택시 등이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10월 28일 송탄취정수장 폐쇄, 12월 23일 상수원보호구역이 결국 해제됐다.
해당 구역 면적은 평택시 진위면 봉남·마산·동천·은산리 일원 2.287㎢와 용인시 남사읍 봉명·진목리 일원 1.572㎢ 등 모두 3.859㎢다.
45년간 거센 개발을 위한 해제 압력에도 시민생명 자원을 굳건히 지켜왔다는 시민연대는 송탄상수원은 그 자체로 존치되어 평택시민의 식수와 미군, 삼성전자 등 국가적 중요시설이 많은 평택시의 위급상황에 대비하는 비상급수가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국책연구기관도 팔당물 하나에 1천만명 이상이 기대고 있는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평택시가 직접 관할하는 최소 2개 이상의 지방상수원을 보유하는 것은 평택시의 생존과 미래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장선 시장은 상수원 해제를 위해 맨 앞에서 앞장선 행동대장을 자처했다. 평택의 가치를 지켜온 평택시민의 대의를 지키지 못하고, 평택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생명자원이 사라지게 되었다. 평택시민들은 허탈감과 자괴감을 억누르고 있는 와중에, 평택역사에 길이 남겨질 역사적 순간에 정장선 시장과 평택시는 공식적인 아무 언급도 없다. 평택시의 공익을 지켜낼 능력이 없음이 만천하에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러 언론에서 지적하듯 용인반도체산단의 결정적 요인인 막대한 전력과 용수 공급 대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한다. 용수, 전력공급을 위한 대규모 댐과 엄청난 LNG화력발전소 건설이 곳곳에서 주민들의 반대와 비용문제로 실현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 결국 개발과 정치권의 희생양이 된 송탄상수원, 평택시민의 생명자원만 사라질 것이다. 투기와 난개발만 활개 칠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평택생명시민연대 한 관계자는 “외부의 압력을 받았건 안 받았건 해제 관련 최종 결정권자는 정장선 시장이다. 시장이 해제 신청을 안 했으면 해제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45년동안 지켜온 것을 해제시킨 최종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고 시민들에게 사죄하는게 원칙이다.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는 평택역사에 흑역사로 길이 남을 것이며 시장으로서 입장도 밝히지 못하는 것은 시장으로서의 자격이 없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말하면서 상수원보호구역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마지막 기회가 남아있다고 적시했다./kksenews@naver.com
#e데일리뉴스#송탄상수원#송탄상수원보호구역#송탄상수원지키기#평택생명시민연대